소형 도마뱀으로 비바리움에서 많이들 키우시는 모어닝게코입니다.
모어닝게코의 이름은 '슬픔'을 뜻하는 mourning, 즉 처녀생식을 하는 모어닝게코 특성상 짝이 없어 슬퍼한다는 이야기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측됩니다.
부드러운 비늘을 가지고 있어 Smooth-scaled gecko라는 이름도 가지고 있네요.
학명은 Lepidodactylus lugubris로 도마뱀붙이과 Lepidodactylus속에 속해있는 종입니다.
대체적으로 사육 난이도가 쉽지만 최소한의 환경은 맞춰줘야 하기 때문에 이에 관련해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식지
- 남태평양 섬들, 남아메리카, 하와이 등에 집중적으로 서식합니다.
- 모어닝게코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넓게 분포되어 서식하는 종들 중 하나입니다.
: 처녀생식의 특성상 번식력이 뛰어나고 부화된 알들이 바닷물에 내성이 있어 서식지가 넓게 분포되어 있다고 하네요.
크기
- 성체가 8~10cm로 매우 작게 자라는 소형종입니다.
- 꼬리가 몸 길이의 절반을 차지하며 꼬리에 지방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수명
- 평균 10년으로 최대 15년의 수명을 가지고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온도
- 주간 : 21~26 / 야간 : 최소 18도 이상으로 유지해주세요.
습도
- 기본적으로 습한 환경에 서식하는 종으로 60~80% 습도로 맞춰주세요.
특징
1. 박명박모성으로 낮과 밤 둘 다 활동합니다.
* 박명박모성(crepuscular) : 새벽이나 이른 저녁쯤 활동함으로서 포식자를 피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는데 사육환경에서는 사육자의 활동시간을 피해 활동합니다. 야행성으로 구분된 동물 중 일부는 사실 박명박모성입니다. ex) 햄스터
2. 다른 게코류처럼 환경에 따른 발색차이가 있습니다 (파이어 업/다운)
3. 야생에서 과일과 소형곤충류를 먹는 잡식성 도마뱀입니다.
: 사육 시 슈퍼푸드나 귀뚜라미, 밀웜 등을 피딩해주시면 됩니다.
4. 처녀생식종이라해서 모든 종이 암컷이라는 의견이 있는데 모든 모어닝게코가 암컷인건 아닙니다.
다만 수컷 모어닝게코가 태어날 확률이 매우 적어 수컷 개체를 찾기 힘들 뿐입니다.
* 처녀생식이란?
난세포가 짝짓기를 통해 수정되지 않고 스스로 발육하여 배아를 형성하는 경우
5. 처녀생식을 하기 때문에 자손들이 유전적으로 동일하지만 서식지에 따른 종 다양성이 존재합니다.
ex) 하와이안 모어닝게코 / 남아메리카 모어닝게코
6. 크레스티드게코처럼 눈썹이 없어 혀를 이용하여 눈을 청소하고 눈에 수분을 공급합니다.
7. 다른 게코들과 마찬가지로 발바닥에 있는 빨판을 이용하여 벽을 오를 수 있습니다.
8. 꼬리가 잘려도 다시 자라는 리젠테일의 특성이 있습니다.
9. 사회성을 가진 종으로 숨을 공간을 많이 만들어준다면 합사가 가능합니다. 의사소통을 위해 소리를 내거나 꼬리를 흔드는 행동을 하기도 합니다.
10. 카니발리즘(동족포식) 특성이 있다고 알려져있어 합사 시 크기 비슷한 개체들끼리 사육해주세요.
번식
- 모어닝게코의 번식은 아주 쉽습니다.
- 성성숙에 이르기까지 8~10개월 정도가 걸리게 되는데 활발한 번식을 위해 2마리 이상의 합사사육이 좋다고 합니다.
(유사교배를 통한 번식 활성화라고 하네요)
- 4~6주마다 2개의 알을 낳습니다.
- 주로 벽이나 나무 등에 2개의 알을 서로 붙혀 산란하기 때문에 알을 인큐베이터에 옮길 때 알이 깨져버릴 수 있습니다.
- 인큐베이터에서 부화시킬 경우 알이 깨지지 않게 산란 2.3일 뒤에 물 분무를 해주고 면봉으로 살살 떼서 옮겨주시면 됩니다. 알을 따로따로 분리할 필요 없이 2개 통째로 옮겨주세요. 온도는 21~26도로 맞춰주세요.
- 자연부화 시 온도와 습도만 유지시켜주시되 성체 모어닝게코의 동족포식 방지를 위해 분리사육이 필요합니다.
: 해외브리더에 따르면 식물이 잘 심어진 넓은 환경 속에서 충분히 피딩된 성체라면 동족포식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드워프 화이트 쥐며느리를 사육장에 많이 풀어주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부화하기까지 약 60~90일 정도 소요됩니다.
먹이
: 잡식성으로 슈퍼푸드나 귀뚜라미. 밀웜, 쥐며느리 등이 있습니다.
(저는 성체 기준 이틀에 한번 귀뚜라미 소 사이즈 한 마리씩 피딩중입니다)
요약
: 기본적으로 따뜻하고 다습한 환경에 키워주시면 됩니다.
특이하게 알을 접착물질로 벽면에 붙혀서 낳으므로 알이 옮길 때 깨지지않게 조심해주세요.
사육장 한 쪽에 물그릇을 배치해주시고 제 경험상 높은 곳을 좋아하므로 큰 유목등의 장식물을 넣어주는게 좋을 거 같아요.
생각보다 배설량이 많으므로 사육장 청소는 1주일에 1번 꼭 해주시고 비바리움에 사육 시 톡토기와 쥐며느리류를 꼭 같이 넣어주세요.
이 글은 해외사이트 의역으로 작성된 글이며
궁금하신 점이나 지적해주실 만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동물 > 파충류 케어시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어디드래곤 번식에 관하여 - Bearded Dragon Propagation (0) | 2021.05.05 |
---|---|
크레스티드게코 습도에 관하여 - Crestedgecko humidity (0) | 2021.04.30 |
무리쉬 게코 키우기 - Moorish gecko (0) | 2021.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