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식물 정보6

무성생식과 유성생식 - Asexual, Sexual reproduction 생식이란? - 생식이란 종족 번식을 위해 자신과 종류가 같은 새로운 생물 개체를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무성생식 (Asexual reproduction) - 성별의 구분이 없거나 하나의 성별로부터 생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 무성생식은 크게 포자법과 영양생식으로 나뉘게 된다. 1. 포자법 : 포자란 개체로부터 분리되는 생식 세포를 의미하는데 주로 양치식물, 조류, 선태식물류에서 볼 수 있는 번식법이다. 2. 영양생식 : 영양생식의 경우 생물의 재생력을 이용한 번식방법으로 단세포와 다세포의 차이에 따라 그 방식이 나뉘는데 단세포의 경우 이분법이나 영양 포자에 의한 방법을 이용하며 다세포의 경우 우리가 잘 아는 삽목, 휘묻이, 포기나누기 등의 방법을 이용한다. - 별도의 감수분열을 거치지 않으므로 후손.. 2021. 5. 13.
외떡잎식물과 쌍떡잎식물의 차이 - Difference of Monocotyledoneae and Dicotyledoneae 외떡잎식물 (Monocotyledoneae) - 떡잎이 한장인 식물을 의미하며 이 때 떡잎이란 씨앗 속에 배에서 가장 처음으로 나온 잎을 의미한다. - 외떡잎식물의 떡잎은 본래 두 장의 떡잎이 붙어 생긴 것이다. - 잎이 가늘고 면적이 좁은 형태를 띈다. - 대부분 한해살이라 빠른 성장에 초점을 둔다. - 물관과 체관이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관다발이 흩어져있으며 형성층이 없어 줄기가 얇다. - 잎맥은 나란히맥 형태를 띄며 나란히맥이란 세로로 긴 잎맥이 연속적으로 있는 모양을 뜻한다. - 잎자루가 없다. - 뿌리가 굵지 않고 수염뿌리의 형태를 가진다. - 꽃잎 개수가 3의 배수이거나 아예 없다. - 대표적으로 강아지풀, 벼, 보리, 옥수수 등이 있다. 쌍떡잎식물 (Dicotyledoneae) - 말그대로 .. 2021. 5. 13.
단엽과 복엽에 대해 - Simple, Compound Leaf 단엽 (simple leaf) - 잎이 갈라지지 않고 하나로 되어있는 잎을 의미하며 다른 말로 홀잎이라고도 한다. 복엽 (Compound Leaf) - 잎이 2개 이상의 잎몸으로 이루어진 것을 뜻하며 겹잎이라고도 한다. 1) 장상복엽 (palmately compound leaf) - 손바닥 모양의 복엽을 의미하며 3출엽, 5출엽, 2회3출엽, 3회3출엽 등으로 나뉜다. 2) 우상복엽 (pinnately compound leaf) - 깃모양의 복엽을 의미하며 기수1쌍, 기수1회, 우수1회, 기수2회, 우수2회 등으로 나뉜다. 이 때 기수는 홀수, 우수는 짝수를 의미한다. 즉 잎의 개수가 홀수면 기수, 짝수면 우수가 되는 것이다. - 복엽에서의 잎도 하나의 단엽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하는 부분에서 단엽과 복.. 2021. 5. 11.
식물 내한성 지표 - USDA Plant Hardiness Zone USDA Zone이란? - 특정지역의 연평균 최저기온의 정도를 나타낸 지표로 특정 식물의 내한성 정도를 알 수 있는 기준이 된다. - 기본적으로 온도차에 따라 1부터 13까지 화씨 10도 기준으로 나뉘며 최근 개정된 지표에는 각 수치가 a,b로 나뉘며 이는 화씨 5도 차이이다. - 대한민국 내한성 지표로서 가장 추운 강원도 지역의 경우 5a ~ 5b의 수치를 보이며 가장 따뜻한 제주도 지역의 경우 최대 9b의 수치까지 보인다. - 대부분의 열대식물의 경우 USDA 10에서 11 정도의 수치를 보인다. - 식물의 성장 조건에 온도뿐만 아니라 빛의 세기, 습도, 강수량, 지형 등 여러 조건이 요구되므로 같은 내한성 온도라도 다른 요소들에 따라 전혀 다른 환경이 될 수 있으므로 대략적인 수치로만 참고하는게 좋.. 2021. 4. 24.
토양에 관하여 - 질석, 펄라이트, 마사토 #질석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마사토 1. 질석 (버미큘라이트, vermiculite) - 보통 원예용으로 쓰이는 질석은 원광석을 고온으로 가열해 팽창시킨 가공 질석입니다. - 가열 시 팽창되어 주름잡힌 모양이 지렁이와 비슷해 지렁이를 뜻하는 라틴어 vermeculare에서 유래되었습니다. - ph 7로 중성을 띕니다. - 통기성과 보수성이 우수해 보통 피트모스나 코코피트에 섞어줍니다. - 무균 상태입니다. - 양이온치환능력(CEC)이 탁월합니다. * 토양의 표면은 음전기를 띄어 양전기를 띈 영양소를 흡착하여 저장하는데 이 때 토양이 보유할 수 있는 치환가능한 양이온의 총량을 양이온치환능력이라 한다. 토양비옥도의 척도가 된다. - 질석에 함유된 산화철의 비율에 따라 골드와 실버로 나뉘게 되는데 기능의.. 2021. 4. 14.
벨벳싱고니움 고스트잎에 관하여 오늘 베란다에 있는 벨벳싱고니움 화분에 하얀 잎이 새로 생겼습니다. 처음 보는 현상이라 여기저기 검색해봤는데 이런 하얀 잎을 고스트잎이라 하더라고요. 그래서 고스트잎이 생기는 원인과 고스트 잎의 특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 고스트잎 : 일종의 백색현상으로 초록색이 없는 하얀 잎 - 잎이 하얀색인 이유 우선 식물의 엽록체 안에 있는 엽록소는 유기 화학물 합성을 통해 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전환시켜 식물에게 필요한 탄수화물을 공급받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요. 이 엽록소는 빛 속의 적색파장과 청색파장을 이용하지만 녹색파장은 거의 안 써 녹색파장을 그대로 반사시키는데 이 때문에 식물이 저희 눈에 초록색으로 보이게 되는겁니다. 그런데 고스트잎은 잎에 엽록소가 생기지 않습니다. 애초에 엽록소 자체가 없기 때문.. 2021.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