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물/파충류 케어시트

비어디드래곤 번식에 관하여 - Bearded Dragon Propagation

by Liferium 2021. 5. 5.

 

 


기본적인 번식의 과정

 

- 암컷 : 휴면 >> 짝짓기 >> 임신 >> 산란 >> 산란 중지

- 수컷 : 휴면 >> 정자 형성 >> 정자 형성 중단

 


짝짓기를 위한 성적 성숙도

 

- 실제 나이보다는 개체의 크기를 기준으로 성적 성숙도를 판단한다.

 

- 야생에서는 보통 1~2년 정도 된 개체들이면 성적 성숙에 이르렀다고 보는데 인공사육 시에는 

 

- 짝짓기와 산란은 보통 봄부터 초여름 사이에 진행된다.

 

- 암컷 산란을 위한 적정 크기

Eastern Bearded Dragon (Pogona barbarta) 의 경우 110.5~119.5mm

Dwarf Bearded Dragon (Pogona minor) 의 경우 90mm 이상이 적합.

 

- 수컷의 경우 늦여름 기간을 제외하고는 항상 생식 가능하다.

Eastern Bearded Dragon (Pogona barbarta) 의 경우 127.5~135.5mm

Dwarf Bearded Dragon (Pogona minor) 의 경우 80mm 이상이 적합.

 

 


짝짓기 없이도 산란이 가능하다

 

- 난소에 정자를 보관할 수 있어 한 번의 짝짓기만으로도 시즌에 꾸준히 산란이 가능하다.

 

- 따라서 정확한 혈통 파악을 위해서는 한 시즌에 한 번의 메이팅이 적합하다.

 


짝짓기에 대해

 

- 짝짓기는 다소 폭력적으로 보일 수 있으나 알고보면 매우 쉽다

 

- 수컷은 암컷을 보고 턱을 검게 바꾸고 머리를 빠르게 흔드는데 암컷 또한 머리를 천천히 흔들고 팔을 흔듬으로써 이에 반응한다. 만약 서로 원을 그리며 경계할 경우 꼬리를 물 수 있으므로 격리해주는 것이 좋다.

 


메이팅이 끝난 암컷 케어해주기

 

1. 칼슘과 비타민 D3 공급해주기

- 알의 노른자는 뼈를 포함한 배아를 형성하는데 이 때 많은 칼슘을 소모하기 때문에 배아 형성 전 암컷의 건강상태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산란을 하는 과정에서 근육 수축을 원할히 해주는 역할도 한다. 만약 칼슘 공급이 적절히 되지 않는다면 MBD를 초래할 수 있다.

 

2. 적절한 열원, UVB 체크하기

- 산란 전에는 충분한 D3를 공급받기 위해 햇빛을 많이 받는게 중요하다. D3보충제를 평소보다 많이 공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햇빛은 D3 보충제보다 훨씬 많은 D3를 공급해준다. 

 

3. 산란박스 만들어주기

- 보통 메이팅 이후 2~3주 이후 산란을 하게 되는데 산란장소가 없으면 에그바인딩이 올 수 있으므로 꼭 만들어주자.

 

- 산란 1~2주 전에 땅을 파기 시작하는데 사육장 내에 적당한 장소가 없을 경우 사육장을 긁는 행동을 보인다.

 

- 산란박스의 바닥재는 모래나 버미큘라이트를 이용하는데 버미큘라이트를 주로 이용한다. 버미큘라이트는 30cm 가량 깔아주는데 살짝 물로 적셔서 개체가 쉽게 땅을 팔 수 있고 알이 버미큘라이트와 붙지 않게 해준다.

 

- 연구결과에 따르면 Pogona Minor의 경우 10cm 정도 먼저 땅을 파본 후 20cm 깊이에 알을 낳는다고 하며 다른 종의 암컷들도 15~20cm 깊이 정도에 산란을 한다고 한다.

 


4. 산란은 얼마나 하는가?

- 한 시즌에 3클러치정도 산란하는데 1클러치당 최대 35개까지 산란 가능하다.

 


5. 암컷이 산란중인지 알 수 있는 방법

1) 핫존에서 시간을 많이 보낸다

 

2) 몸무게를 몇주만에 30%가량 늘린다.

 

3) 2~3주에 걸쳐 배가 울퉁불퉁해진다.

 

4) 복부움직임이 느려지거나 아예 없어진다.

 

5) 움직임이 느려지거나 산란 1주 이내에는 먹는 것을 중단한다.

 

6) 여러 군데의 공간을 파는 행위를 한다.

 


6. 산란이 끝난 암컷 케어하기

- 산란이 끝나면 무게의 20~30%가 빠지므로 바로 물과 먹이 급여 해주기

 

- 칼슘이 풍부한 음식과 햇빛을 쐬어주는 것이 가장 베스트

 


7. 산란받은 알 케어하기

 

바닥재와 습도

- 산란장은 질석과 물을 4:5 비율로 섞어 넣어주는데 이 때 물은 한번에 넣는거보다 조금씩 나눠서 넣어주는 것이 좋다.

 

- 알들은 질석의 습도로부터 습도를 제공받는 것이 아닌 산란장 내 공중습도에서 습도를 제공받기 때문에 과습하지 않게 뚜껑에 환기구가 있어야 한다.

 

- 질석에 알의 절반 부분을 넣어주고 산란된 상태 그대로 넣지 않으면 질식사 할 수 있다.

 

- 산란장 뚜껑에 물방울이 맺힐 경우 습도가 너무 과한 경우이고 알이 찌그러지는 경우 습도가 낮은 경우로 바닥재에 물을 뿌려줌으로써 습도를 올려준다. 이 때 알에 직접적으로 분사하지 않기.

 

온도

- 온도에 따라 부화기간이 결정되며 약 29도의 온도에 50~70일 정도 소요된다. 자연에서의 Pogona Minor의 경우 27도에서 59~74일 정도 소요되었다고 한다.

 

- 연구결과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27도)에서 부화될수록 성장이 빠르고 먹이 활동도 활발하다고 한다.

 

- 산란 1~2일 전 알 표면에 물방울이 생기면서 알이 쪼그라드는데 알마다 부화기간이 1~2일 차이나기도 한다.

 

- 산란 직후 해츨링들의 배 부분에 핑크색 덩어리가 달려있을 수 있는데 이는 영양주머니로 몇일 내에 몸으로 흡수된다.

 


부화한 해츨링 관리하기

 

- 부화한 개체마다 성장속도가 차이나므로 비교적 빠르게 성장한 아이들은 개별 사육해주며 먹이 공급이 원할하지 않다면 서로 꼬리나 발가락을 물 수 있다.

 

- 부화한 해츨링들은 보통 2년 이내에 성체까지 자라게 된다.

 


만약 적정 시간 내에 산란을 하지 않는 경우

 

1. 최우선적으로 동물병원에 방문한다.

 

2. 핸들링을 최소화하고 산란장이 없을 경우 산란장을 만들어준다.

 

3. 배에 있는 알을 절대 눌러서 빼려고 시도하지 말자. 만약 알이 복부 안에서 터질 경우 감염 등의 질병에 노출된다.

 

4. 온욕으로 수분공급해주기

 

5. 장기가 몸밖으로 나왔을 경우 습도 올려주기

 

6. 전체적인 사육환경 체크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