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식물 정보

단엽과 복엽에 대해 - Simple, Compound Leaf

by Liferium 2021. 5. 11.

단엽 (simple leaf)

- 잎이 갈라지지 않고 하나로 되어있는 잎을 의미하며 다른 말로 홀잎이라고도 한다.

 

좌. 벨벳싱고니움. 파리지옥

 


복엽 (Compound Leaf)

- 잎이 2개 이상의 잎몸으로 이루어진 것을 뜻하며 겹잎이라고도 한다.

 

1) 장상복엽 (palmately compound leaf)

- 손바닥 모양의 복엽을 의미하며 3출엽, 5출엽, 2회3출엽, 3회3출엽 등으로 나뉜다.

 

좌. 3출엽. 5출엽. 2회3출엽 / 출처.네이버

 

 

좌. 토끼풀. 가락지나물. 매발톱꽃 / 출처.구글

2) 우상복엽 (pinnately compound leaf)

- 깃모양의 복엽을 의미하며 기수1쌍, 기수1회, 우수1회, 기수2회, 우수2회 등으로 나뉜다. 이 때 기수는 홀수, 우수는 짝수를 의미한다. 즉 잎의 개수가 홀수면 기수, 짝수면 우수가 되는 것이다.

 

좌. 기수1쌍우상복엽. 기수1회우상복엽. 우수1회우상복엽

 

 

좌. 보스톤고사리. 테이블야자. 더피고사리

 


- 복엽에서의 잎도 하나의 단엽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하는 부분에서 단엽과 복엽의 혼란이 오는데 복엽의 작은 잎들은 소엽이라 부르며 복엽의 잎줄기 또한 단엽의 잎줄기처럼 목질화되지 않으며 겨울철이 되면 단엽과 똑같이 낙엽이 지므로 많은 소엽들을 하나의 잎으로 보는 것이다.

 

-  쉽게 생각해서 목질화되지 않는 하나의 줄기를 기준으로 그 줄기에 달린 잎의 개수가 한 개냐 여러 개냐의 차이로 보면 편할 것 같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