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식물 정보

벨벳싱고니움 고스트잎에 관하여

by Liferium 2021. 4. 13.

벨벳 싱고니움 고스트잎

 

 

오늘 베란다에 있는 벨벳싱고니움 화분에 하얀 잎이 새로 생겼습니다.

 

 

처음 보는 현상이라 여기저기 검색해봤는데 이런 하얀 잎을 고스트잎이라 하더라고요.

 

 

그래서 고스트잎이 생기는 원인과 고스트 잎의 특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 고스트잎

: 일종의 백색현상으로 초록색이 없는 하얀 잎

 


- 잎이 하얀색인 이유

우선 식물의 엽록체 안에 있는 엽록소는 유기 화학물 합성을 통해 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전환시켜 식물에게 필요한 탄수화물을 공급받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요.

 

이 엽록소는 빛 속의 적색파장과 청색파장을 이용하지만 녹색파장은 거의 안 써 녹색파장을 그대로 반사시키는데 이 때문에 식물이 저희 눈에 초록색으로 보이게 되는겁니다. 

 

그런데 고스트잎은 잎에 엽록소가 생기지 않습니다. 애초에 엽록소 자체가 없기 때문에 반사시킬 파장이 없어 잎이 흰색을 띄는거지요.

 

그런 이유에서 고스트잎들은 독자적으로 영양소를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초록잎들 없이는 독자적으로 생존 할 수 없으며 다른 초록잎들에 기생하며 자란다고 하네요.

 


- 고스트잎이 생기는 이유

돌연변이라는 이유 말고는 정확한 이유를 찾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런데 토양의 질소 함량이 식물의 엽록소 생성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이 있더라고요.

 

질소의 함량이 많을 수록 엽록소 생성이 활발짐으로서 광합성량이 활발해지고 이에 따라 잎의 초록색 부분이 더 많이 생긴다는 가설이죠.

 

가설인지 사실인지는 확실히 잘 모르겠지만 이 가설이 맞다면 고스트잎이 나오는 원인은 토양의 질소질 함량이 적기 때문이겠죠.

 

이러한 이유에서 무늬종 식물에게 질소비율이 많은 비료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분들도 많이 계시고요. 

 

결론적으로 만약 질소질 함량이 엽록소 생성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이 맞다고 가정한다면 특정 개체에 고스트잎이 계속 생성될 경우 토양의 질소질 함량을 질소비율이 높은 비료를 통해 높혀줘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 과도한 햇빛량이 원인이거나 여름철마다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의견도 보였는데 이에 관해 정확히 아시는 분 계시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벨벳 싱고니움 케어시트>

2021.04.03 - [식물 케어시트] - 벨벳 싱고니움 키우기 - Syngonium Wendladii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