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2

아기들덩굴초롱이끼 - Plagiomnium acutum 아기등덩굴초롱이끼 - 동부, 동남부 아시아에 분포하며 국내의 경우 전국에 분포한다. - 등덩굴초롱이끼와 생김새가 매우 흡사하여 세포형질을 이용하여 동정하는데 세포의 크기가 등덩굴초롱이끼에 비애 10um 정도 더 작다. - 산지의 습한 바위 또는 땅 위에 모여 자라며 도시의 습한 반음지 공터에서 자라기도 한다. - 줄기는 길게 뻗어 자라며 끝이 땅에 닿으면 헛뿌리가 나와 새싹이 형성된다. - 잎의 길이는 2~3.5mm이고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 암수딴그루이며 등덩굴초롱이끼의 경우 암수한그루이다. - 포자체는 잘 형성되지 않는다 - 삭은 원통형이며 끝이 아래로 처지며 형성된다. 2021. 5. 13.
방태산 식물 동정 - 노루귀, 관중, 박새, 철쭉 1. 노루귀 (Hepatica nobilis) - 쌍떡잎식물강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 어린 잎의 뒷면에 하얗고 기다란 털이 덮혀 있는 모습이 노루의 귀처럼 보인다하여 노루귀라는 이름을 얻게됨 - 학명의 hepatica는 간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는데 잎이 간과 비슷한 형태를 띄고 있는 점에서 유래했다. - 한국 전역에 널리 분포 - 꽃은 잎이 나오기전에 먼저 피는데 개화시기는 3월에서 4월 사이다. - 키가 작아 눈에 잘 띄지 않고 무리지어 자란다. - 부엽질이 풍부한 곳에서 자라며 여름에는 서늘하고 겨울에는 빛이 잘 드는 양지에서 잘 자란다. - 유독성 식물이다. 2. 관중 (Dryopteris crassirhizoma) - 양치식물강 관중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 한국, .. 2021. 5. 13.
무성생식과 유성생식 - Asexual, Sexual reproduction 생식이란? - 생식이란 종족 번식을 위해 자신과 종류가 같은 새로운 생물 개체를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무성생식 (Asexual reproduction) - 성별의 구분이 없거나 하나의 성별로부터 생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 무성생식은 크게 포자법과 영양생식으로 나뉘게 된다. 1. 포자법 : 포자란 개체로부터 분리되는 생식 세포를 의미하는데 주로 양치식물, 조류, 선태식물류에서 볼 수 있는 번식법이다. 2. 영양생식 : 영양생식의 경우 생물의 재생력을 이용한 번식방법으로 단세포와 다세포의 차이에 따라 그 방식이 나뉘는데 단세포의 경우 이분법이나 영양 포자에 의한 방법을 이용하며 다세포의 경우 우리가 잘 아는 삽목, 휘묻이, 포기나누기 등의 방법을 이용한다. - 별도의 감수분열을 거치지 않으므로 후손.. 2021. 5. 13.
외떡잎식물과 쌍떡잎식물의 차이 - Difference of Monocotyledoneae and Dicotyledoneae 외떡잎식물 (Monocotyledoneae) - 떡잎이 한장인 식물을 의미하며 이 때 떡잎이란 씨앗 속에 배에서 가장 처음으로 나온 잎을 의미한다. - 외떡잎식물의 떡잎은 본래 두 장의 떡잎이 붙어 생긴 것이다. - 잎이 가늘고 면적이 좁은 형태를 띈다. - 대부분 한해살이라 빠른 성장에 초점을 둔다. - 물관과 체관이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관다발이 흩어져있으며 형성층이 없어 줄기가 얇다. - 잎맥은 나란히맥 형태를 띄며 나란히맥이란 세로로 긴 잎맥이 연속적으로 있는 모양을 뜻한다. - 잎자루가 없다. - 뿌리가 굵지 않고 수염뿌리의 형태를 가진다. - 꽃잎 개수가 3의 배수이거나 아예 없다. - 대표적으로 강아지풀, 벼, 보리, 옥수수 등이 있다. 쌍떡잎식물 (Dicotyledoneae) - 말그대로 .. 2021. 5. 13.
소드테일 뉴트 키우기 - Sword tailed newt * 학명 : Cynops ensicauda로 두 아종이 존재한다. - Cynops ensicauda ensicauda : 엔시엔시 뉴트 (Amami-oshima sword tailed newt) - Cynops ensicauda popei : 금박이 뉴트 (Okinawa sword tailed newt) * 영명 : Sword tailed newt 생김새 - 등부분이 검은색이나 회색 등의 어두운 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배 부분에는 오렌지색이나 빨간색 바탕에 검은 점들이 존재한다. - 금박이 뉴트의 경우 다른 종들보다 등부분이 더 어두운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흰색, 노란색, 금색의 반점이 존재한다. - 성체 기준 수컷은 약 12.7cm, 암컷은 18cm로 암컷이 더 큰 몸집을 가진다. - 암컷이 수컷에 비.. 2021. 5. 12.
단엽과 복엽에 대해 - Simple, Compound Leaf 단엽 (simple leaf) - 잎이 갈라지지 않고 하나로 되어있는 잎을 의미하며 다른 말로 홀잎이라고도 한다. 복엽 (Compound Leaf) - 잎이 2개 이상의 잎몸으로 이루어진 것을 뜻하며 겹잎이라고도 한다. 1) 장상복엽 (palmately compound leaf) - 손바닥 모양의 복엽을 의미하며 3출엽, 5출엽, 2회3출엽, 3회3출엽 등으로 나뉜다. 2) 우상복엽 (pinnately compound leaf) - 깃모양의 복엽을 의미하며 기수1쌍, 기수1회, 우수1회, 기수2회, 우수2회 등으로 나뉜다. 이 때 기수는 홀수, 우수는 짝수를 의미한다. 즉 잎의 개수가 홀수면 기수, 짝수면 우수가 되는 것이다. - 복엽에서의 잎도 하나의 단엽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하는 부분에서 단엽과 복.. 2021. 5. 11.